대학원 입학

사범대학교 편입? 교원자격증 취득방법 경쟁률 낮추려면?

겨레쌤 2022. 1. 19. 18:38
교원자격증

초중등교육법 제21조 2항은
교원의 종별 및 자격을 규정
하고 있는 바,
① 교사는 정교사(1급,2급),
준교사·전문상담교사(1급,2급),
사서교사(1급,2급),실기교사·
보건교사(1급,2급) 및 영양교사
(1급,2급)로 구분하여 대통령령에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교육과학기술
기술부장관이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에게 자격증을 수여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교원자격증은

2급 정교사 자격증일텐데요!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①사범대학 입학 또는 편입

②교직이수과정이 있는 학과에서

교직이수

③교육대학원 진학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어요.

 

 

이중 1번의 경우

 

사범대 입학이야 두말하면

입아플정도로 입시가 힘들다는

것쯤은 다들 아실거에요.

 

그렇다고 편입를 하자니

뽑는 인원도 많지 않을 뿐더러

지원하고 하는 학과의 인원이

나와야 편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입이 아니라 거의 인생을 건

도박이죠.

 

그렇다면 2번의 경우는 어떨까요?

 

교직이수과정이 있는 학과에서

교직이수를 하면 되는데,

 

보통 이런 교직이수과정은

한 학과에서 최대 10%의 인원

으로 뽑기때문에 교직이수과정을

하는 인원은 2-3명 내외에요.

 

이마저도 2학년에 보통 진행

되기때문에 편입으로 들어간

분들은 교직이수과정이 있는지

모르고 지나가게 되죠.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방법을

꼽으라면 3번째 방법이 되겠는데요.

 

교육대학원 진학?

 

 

위의 경쟁률을 보고 나니

뭔가 쉬워보이죠?

 

물론 교육대학원 입학이

쉬운 건 아니에요.

 

학점은 당연히 높아야 하고

지원하는 학과에 맞춰서

면접이나 다른 서류를

준비해야 될거에요.

 

하지만 비교적 2급 정교사 자격증

취득에 있어 경쟁률이 현저히

낮다는 건 숨길 수 없는 사실이죠.

 

교육대학원이기 때문에

전공의 다양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지요.

 

하지만 이러한 교육대학원 진학에도

주의해야 될 점이 있어요.

 

교육대학원 진학 주의할 점

 

 

단순히 교육대학원에 입학하는 것은

전공무관하게 학사 학위만 있다면

입학 할 수 있지만

 

우리가 지금 목표로 하는 정교사

자격증의 경우 전공분야가 동일

하다고 대학원에서 인정이되어야

졸업 후 2급 정교사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답니다.

 

 

또한 교육대학원이라고

다 2급 정교사 자격증이 나오는

것은 아니에요.

 

위 사진처럼 양성과정 승인인원이

있어야 교육대학원에 진학해서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거죠.

 

양성과정 승인인원이 없는 대학원은

이미 정교사 자격증이 있거나

현직 교사인 분들의 재교육 과정이기

때문에 주의하길 바라요.

 

만약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데 학력조건에 맞지 않다면

학점은행제로 진행하면 가능하답니다.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 졸업이라면

누구나 이용하실 수 있기 때문에

뒤늦게 교사의 꿈을 가지신 분들이

라도 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다면

 

교육대학원 진학? 크게 어렵지

않을 거에요.

 

학점은행제는 온라인으로 진행

되고 교육대학원 같은 경우에는

현직교사 분들도 재교육의 목적으로

이용하다보니 야간으로 운영되는

곳들도 종종 있는 편이에요.

 

만약 교원자격증 취득하고 싶지만

학력조건이 맞지 않다면

아래의 연락처로 편하게

문의 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