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대가 그렇게 취업이 잘된다더라~
뭐, 틀린 말은 아니다.
시대가 발전하면서 속된 말로
공돌이가 갈려나가는 만큼
생활이 윤택해진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컴전기(컴퓨터공학,전자공학,기계공학)
삼신기,삼위일체 이런 말이 있듯이
공학계열에서 저 세 학과들의 취업률은
항상 상위권을 놓치지 않는다.
오늘은 이 중 반도체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자공학에 대해 설명 할까한다.
전자공학?
공학계열의 영원한 철밥통이라해도
무방할 정도로 현재 우리 생활에서
전자공학이 쓰이지 않은 곳이 없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면 우리가 항상
들고 다니는 핸드폰이나 컴퓨터의
부품을 만드는 학과가
전자공학인 것이다.
대기업 취업이 아니더라도 준수한
학점과 자신의 스펙을 나타낼 기사
자격증이 있다면 중소기업 취업 역시
다른 학과에 비해 수월한 것은 물론이다.
(물론 준공무원인 한국전력공사같은
공기업 취업에 유리한 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전자공학사가 없는 분들들이
전자공학을 진행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학점은행제 전자공학으로!
학점은행제.
몇몇에게는 굉장히 생소하게
들릴수 있다.
학점은행제란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 및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학점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서 학위취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학습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간단히 말해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제도라는 말이다.
고등학교 졸업학력 이상이면
누구나 학위 취득을 할 수 있는
제도인데 얼핏 사이버대학과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다.
사이버대학과 학점은행제는
굉장히 큰 차이가 있는데
가장 큰 차이라면 아무래도
금액적인 면일 것이다.

위 사진을 보면 사이버대학의
대학적인 금액을 알 수 있는데
학점은행제는 이 금액의 절반
정도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두 제도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고 있지만
학점은행제는 온라인 강의 외에도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요즘 공기업들은 대부분 블라인드 채용을
채택하고 있고 그렇기에 중요해지는 건
학력이외에 자기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스펙(자격증 등)일텐데
어차피 스펙을 올리기 위해 취득하는
이 자격증을 학점은행제에서는
학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4년제 학사 학위
취득에 걸리는 시간을 2년-2년반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인이 만약 전자공학계열로
취직하고 싶고 진행하고 싶은데
학력이 안된다면!
언제든 문의해주길 바란다.
전자공학과 관련된 자격증부터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면 쌍기사
취득에 유리한지 대략적으로
설명해주겠다.

'학점은행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쌍기사 취득해서 한전 취업 가산점 받자! (0) | 2021.12.22 |
---|---|
학점은행제 심리학으로 상담심리대학원 진학해서 심리상담사 되기! (0) | 2021.12.22 |
지적산업기사로 지적직 공무원 취업 유리하게! (0) | 2021.12.16 |
학점은행제 경영학으로 나만의 색을 찾자! (0) | 2021.12.15 |
유기농업기사? 너도 할 수 있어 친환경인증심사원! (0) | 202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