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

유기농업기사? 너도 할 수 있어 친환경인증심사원!

겨레쌤 2021. 12. 15. 18:20

 

 
제26조 2.인증심사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해양
수산부장관은 농림축산식품부령
또는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자에게 제 20조에
따른 인증심사,재심사 및 인증
변경승인, 제 21조에 따른 인증
갱신, 유효기간 연장 및 재심사,
제 31조에 따른 인증사업자에
대한 조사업무를 수행하는
심사원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

②제 1항에 따라 인증심사원의
자격을 부여받으려는 자는 농림
축산식품부령 또는 해양수산부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농림축산
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실시하는 교육을 받은 후 농림축산
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
에게 이를 신청하여야 한다.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 지원에 관한 법률
 

 

우리들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농약 마크부터 친환경,

유기농 마크까지 다양한 식품

인증마크를 볼 수 있을텐데요.

 

평소라면 별생각없이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을 그런 마크를

받기 위해 혹은 주기 위해 평가

하는 직업이 바로-

인증심사원이랍니다.

 

인증심사원의 자격기준 시행규칙

별표9의 2에 따르면 농업,임업,

축산 또는 식품 분야의 기사 이상

또는 산업기사의 경우 2년의 경력

이거나 수의사면허를 취득했을 경우

 

30시간의 교육을 듣게 되면

인증심사원이 될 수 있는데,

 

솔직히 수의사까지 되서

인증심사원을 할까 싶기도 하고

2년의 경력을 쌓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죠.

 

아무래도 기사를 취득하는 편이

가장 무난하고 손쉬운 방법일

듯한데요.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농업,임업,

축산 또는 식품 분야 기사로는

 

식품분야: 수산제조, 식품기사

농업분야:시설원예기사, 유기농업기사,

종자기사,화훼장식기사

축산분야:축산기사

임업분야:산림기사,식물보호기사,임산

가공기사,임업종묘기사

 

등이 있는데 오늘은 이중에서

유기농업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유기농업기사

 

유기농업기사?

많이 생소한 자격증 명칭이죠?

 

유기농업기사는 우리나라가

한창 고부가가치의 농작물

전환으로 유기농산물 열풍이

불었던 2005년 신설된

국가기술자격증이랍니다.

 

그렇기때문에 응시 인원이

다른 국가기술자격에 비해

현저히 적은 편이지만

 

그 활용성은 무궁무진하죠!

(사진1)

 

사진1. 채용사이트 유기농업기사 관련 모집

 

친환경 인증심사원 자격조건을

보게 되면 유기농업기사가

필수자격이나 우대사항으로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취업에 상당히 도움이 되는

유기농업기사를 취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기농업기사 응시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관련학과 전공자
· 대졸(졸업예정자)
· 전문대졸(2년/3년) + 실무경력 2년/1년
순수 경력자
· 실무경력 4년

 

유기농업기사 응시자격을

보게되면 학력 조건을 갖

추거나 실무경력을 쌓아야

가능 할 것 같은데

 

고졸인 분들은 귀농해서

4년동안 농사를 지어야

되는 것일까요?

 

농사일이 쉬운 것도 아니고

경력을 인정해줄지도 의문이라

막막할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만약 실무경력으로

유기농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많은 기업에서 친환경

인증심사원 필수 조건으로

4년제졸을 원하기 때문에

심사원으로의 취업도 힘들거에요.

(사진1)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울며 겨자먹기로 사이버대학이라도

들어가야 될까요?

 

다행히 모두 No를 외칠 때

Yes를 외치게 해주는 학점은행제가

있답니다.

 

고등학교 졸업 학력만 된다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인데

정말 1도 관련 없을 것만 같은

경영학이라는 전공으로도

 

유기농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답니다.

(학점은행제 원예학 전공은 온라인

진행이 어려워요)

 

학점은행제로 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때 106학점을 취득하면

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지만

 

후에 친환경 인증심사원으로

취직하려면 학위가 필요할 거에요!

물론 이를 사이버대로 진행하게

되면 4년의 시간이 걸리겠지만

 

학점은행제로는 2년-2년반정도

굉장히 빠르게 학위취득까지

가능하시죠.

(이는 자격증이나 다른 학점 취득

방법을 병행했을 때 나오는 기간!)

 

유기농업기사/인증심사원에 관심이

있다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해 주세요.

아래의 네임카드를 누르시면

좀더 자세한 상담을 받아

보실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