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

지적산업기사로 지적직 공무원 취업 유리하게!

겨레쌤 2021. 12. 16. 19:29

 

 

우리는 언제나 안전한 직장을

원하고 도전하고 있죠.

 

여러 직장이 있지만 그 중에서

제일은 역시 과거부터 지금까지

철밥통이라 불리우는 공무원이

아닐까해요.

 

하지만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일반 행정직 공무원 경쟁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고 특별한

자격 요건이 있는 것도 아니라

 

수능이 끝나면 바로 공무원

준비를 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랍니다!

 

혹시 여러분들... 공무원 경쟁률

5대 1인 곳이 있다면 어떠신가요?

아니, 대학교 입시 경쟁률도 저것

보단 높을텐데!

 

지적직 공무원
 

 

아마 지적직 공무원은 많이

생소하고 처음 들어보시는

직류일텐데요.

 

지적측량, 토지이동, 부동산 실거래,
도로명주소, 공시지가, 지적재조사,
공유재산 관리 등 지적 및 부동산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이다.

지적직 공무원
 

 

국가의 지적재조사 작업이 시행되면

많이 갈려나갈 지적직 공무원들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러한 지적직 공무원을 지원하려면

지적산업기사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이

필요하죠.

 

사진1.2021년도 1·2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공개경쟁임용시험 시행계획
 

 

산 넘어 산이라고 지적직 공무원이

되고 싶었을 뿐인데 지적산업기사?

 

하지만 지적산업기사를 취득하면

공무원 경쟁률이 5대 1이였다는

말도 안되는 경쟁률을 가진 지적직

공무원을 지원할 수 있으니 조금만

견뎌보자.

 

지적산업기사
 

 

산업기사의 응시자격은 비교적 간단해요

관련학과의 전문대(2년) 졸업(예정)자 또는

동일,유사 분야로 실무경력을 2년

쌓으면 되죠! 어때요? 참 쉽죠.

 

하지만 우리가 실무경력을 쌓아서

지적산업기사를 취득한다 한들

지적직 공무원이 되는 것이 최종

목표이기에

 

좀더 빠르게 응시자격을 갖출

필요가 있어요. 지적산업기사

시험 외에도 지적직 공무원 준비도

해야 되니까요.

 

이렇게 시간에 쫒겨사는 우리를

위한 제도가 있는데요!

바로, 학점은행제랍니다.

 

학점은행제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제도로 학위까지 취득이

가능하긴한데

 

지금 저희한테 필요한 것은

산업기사 응시자격이지 학위가

아니기 때문에 빠르게 짚고

넘어가볼게요!

 

(혹, 학점은행제에 대해 궁금하다면

맨아래의 링크로 연락주세요!)

 

졸업예정자란 국가기술자격 검정의
필기시험일 현재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에 따라 정해진 학년 중
최종 학년에 재학 중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중략)..41학점 이상을 인정 받은
사람은 2년제 대학졸업예정자로 본다.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지적산업기사 응시자격 중

학력조건이 2년제 전문대졸

또는 졸업예정자이기 때문에

 

전문학사 취득이 아니라

학점은행제로 41학점을 취득

하게 되면 2년제 전문대졸업

예정자로 인정되어 응시자격을

얻을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41학점 취득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학점은행제 규정상 1년(1학기/2학기)

동안 이수가능한 학점은 42학점인데요

지금 우리가 필요한 학점이 41학점이기에

온라인 강의만 듣는다면 1년안에 준비

할 수 있답니다!

 

(관련 전공은 학점은행제 경영학으로

진행하게 될 거에요. 이유는 아래 링크에!)

https://cafe.naver.com/ggongtong/49417

 

 

그리고 최대한으로 줄이면 1학기까지

줄일 수 있답니다.하지만 공무원 시험

준비하랴 지적산업기사 공부하랴...

 

바쁜 여러분일텐데 다른 자격증도

병행하실 수 있을까요?

 

이렇게 지적산업기사 취득 후

지적직 공무원 공채에 지원하시면

될거에요.

 

지적직 공무원 준비하고 싶은데

지적산업기사 응시자격이 안되신다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