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물건은 시간이 지나면
낡고 결함이 생길 수 밖에
없다. 관리를 아무리
잘했더라도 겉으로는 멀쩡
해도 속은 곪았을지 누가
알겠는가.
그렇다고 그 물건을 분해
하는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작고 단순한 물건이라면
괜찮다 하더라도 그 물건이
대형 선박이나 건물이라면?
분해를 못하니 부셔버릴 것인가?
말도 안되는 생각이라는 것을
여러분들도 느낄 것이다.
이런 상황에 필요한 것이 바로
비파괴검사다.
과거에 비파괴검사라고 해봤자
육안으로 검사하는 육안검사법
(VT)로 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여러 종류의 비파괴검사법이
생겼다.
비파괴검사 종류
|
|
육안검사법(VT)
|
말 그대로 구조물을 직접,간접적으로 관찰하여 시험체
표면의 결함이 있는지 검사하는 방법 |
침투비파괴검사법(PT)
|
표면에 염료 처리를 하여 세척과정 등을 거쳐 표면의
미세한 불연속 부를 검사하는 방법 |
자기비파괴검사법(MT)
|
강자성체에 전자석 등으로 자성을 입히고 가공 처리된
미세 철분을 뿌려 표면과 그 아래의 불연속부의 누설자 속을 표시해 검사하는 방법 |
초음파 비파괴검사법(UT)
|
초음파를 쏘아낸 후 돌아오는 신호를 가공 처리해서
내부를 검사하는 방법 |
방사선 비파괴검사법(RT)
|
방사선 투과 양에 따라 필름의 색이 변하는 것으로
내부를 검사하는 방법 |
누설 비파괴검사법(LT)
|
검사용 시료를 흘려 놓고 검출하는 방법
|
와전류 비파괴검사법(ECT)
|
도체 주위에 코일 등으로 자기장을 만들면 도체에
전류가 유도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 건전부와 불건전부를 검사하는 방법 |
예시로 건물을 들긴 했지만
건축물 외에도 땅속에 있는
상하수도, 가스나 석유의
파이프라인이나 저장탱크의
결함을 확인하는 데에도
많이 쓰인다.
위의 표에 붉은 글씨로 적힌
비파괴검사법은 모두 국가
기술 자격증으로 취득할
수 있다.
각각 검사법에 따라 쓰이는
곳이나 용도가 다르니
자신이 어떤 곳으로 취업을
할 것인지 먼저 정한 다음에
어떤 자격증을 취득할 것인지
확인하는 편이 좋다.
비파괴검사는 신규로도 제작
되는 시험체에도 역시 적용
되기 때문에 이 직종이 없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비파괴검사기사 응시자격
|
|
기술자격 소지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동일 종목 외국자격취득자(ASNT LEVEL3) |
관련학과 졸업자
|
관련학과 대졸(졸업예정자)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2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2년 |
순수 경력자
|
실무경력 4년(동일,유사 분야)
|
비파괴검사기사의 경우
관련학과를 졸업하거나
졸업예정자 또는 최소
1년이상의 실무경력을
쌓아야 가능하다.
그렇다면 관련학과를 졸업
하지 못했다면 비파괴검사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힘든 것일까?
(실무경력은 솔직히 관련
직종에서 일하기 위해 취득
하는것인데 그전에 동일,
유사분야에서 쌓을 수 있었다면
자격증 취득하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아니 그렇지 않다.
실무경력을 쌓지 않아도,
관련학과를 졸업하지 못했어도!
기사시험 응시자격을 빠르게
갖출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는
것인데,
놀랍게도 학점은행제 경영학을
이용하면 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다.
(※동일 직무 분야에서 경영,회계
사무 중 생산관리면 인정해주기 때문이다.)
"졸업예정자"란
...현재「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에
따라 정해진 학년 중 최종 학년에 재학
중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106학점 이상을 인정받은 사람은
대학졸업예정자로 본다.
Q-net 한국산업인력공단
라고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만약 고졸이거나 학력이
부족하신 분은 학점은행제로
106학점을 취득하시면
비파괴검사기사 응시자격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보통 106학점을 인터넷 강의로
듣게 된다면 2년 반에서 3년정도
걸리시게 되는데
(물론 일반 대학에서 듣게 되면
4학년을 진행해야 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진행이 가능하긴하다.)
여기서 만약 자격증 취득까지
병행한다면 약 1년반 정도까지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자신이 전공한 과목이
관련전공인지 확실치 않다면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 마이페이지 ▶ 자가진단
으로 확인가능하다.
(www.q-net.or.kr/)
만약 비파괴검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은데 경력이 안되거나
학력조건이 맞지 않는다면
아래의 네임카드로 언제든지
연락주길 바란다.

'학점은행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지도사 필기면제로 한계돌파! (0) | 2021.12.14 |
---|---|
건강운동관리사 취득하고 보건소 취업하자 (0) | 2021.12.09 |
건설경력수첩 성공적인 취직을 위한 첫걸음! (0) | 2021.12.02 |
플로리스트 화훼장식기사가 전문자격증이라고? 응시자격 확인해서 취업하자! (0) | 2021.11.29 |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 갖춰서 NCS 블라인드 채용 하자!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