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별표 5]
공사예정금액의 규모별 건설기술인
배치기준(제35조 제2항 관련)
공사예정금액의 규모가 30억원미만일 경우
1.산업기사 이상 자격취득자로서 해당
직무분야에 3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른 건설기술인
중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사람
가.해당 직무분야의 중급기술인 이상의 사람
나.해당 직문분야의 초급기술인으로서 해당
공사와 같은 종류의 공사현장에 배치되어
시공관리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개정 2020.10.8>
시행일 2022년 1월 1일
올해 2022년 1월 1일부로 시행되는
법안으로 인해 소규모 공사여도
건설기술인 1명이상이 반드시 배치
하도록 되었다.
그로 인해 건설기술인을 나타주는
건설 경력수첩의 관심이 많아졌는데
오늘은 건설 경력수첩에 관해
얘기해 볼까 한다.
사실 건설기술인은 일정 수준의
국가기술자격과 실무경력을
쌓게되면 배치될 수 있는데

사실 실무경력이라는 것이
일하던 회사가 갑자기 부도가
난다거나 다른 회사와 합병 등
여러 이유로 인해 경력입증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협회에서 건설 경력수첩을
발급하고 있다.
건설 경력수첩
건설기술인 등급은 건설기술인
역량지수에 따라 초급부터 특급
까지 총 4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구분
|
설계·시공,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 |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인 |
특급
|
역량지수 75점 이상
|
역량지수 80점 이상
|
고급
|
역량지수 75점 미만~65점 이상
|
역량지수 80점 미만~70점 이상
|
중급
|
역량지수 65점 미만~55점 이상
|
역량지수 70점 미만~60점 이상
|
초급
|
역량지수 55점 미만~35점 이상
|
역량지수 60점 미만~40점 이상
|
역량지수는 경력지수,학력지수,
자격지수를 모두 합한 점수이며
보통 처음 건설 경력수첩을 발급
받으려는 분들은 초급/중급을
목표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처음 경력수첩을 발급 받는다면
경력이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은
비교적 발급이 쉬운 반면,
경력 없이 준비하고자 하면
학력이나 자격에서 준비해야
될텐데 여기서 고졸이거나
비전공이다? 포기해야 될지
모른다.
하지만 너무 낙심하지 마라.
고졸 또는 비전공이여도 중급
까지 충분히 받을 수 있으니.
교육 지수의 존재
교육지수는 「건설 기술진흥법
시행령」 제 43조 제1항에 따라
지정된 교육훈련 대행기관이
영 별표 3에 의해 실시하고 이수한
교육훈련에 한한다.

말이 좀 어렵지만 사진1에
나온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듣게 되면 교육지수 점수로
인정해준다.
교육시간
|
배점
|
건설정책 역량강화 교육 35시간 마다
|
2
|
건설정책 역량강화 교육 이외 교육 35시간 마다
|
1
|
이수한 날부터 3년간 인정
하며 최대 5점까지 합산할
수 있다.
교육지수는 경력지수,학력
지수,자격지수 외에 추가로
들어가는 가점으로
교육지수를 이용하면 높은
등급의 경력수첩을 받기
용이 하다.
만약에
고졸이나 비전공자의 경우
학력지수가 0이거나(고졸)
학력지수가 10점(비전공)
밖에 인정되지 않아
국가기술자격증도 없다면
초급 경력수첩조차 발급
받을 수 조차 없을 것이다.
국가기술자격증 역시 일정
수준의 학력이나 그에 준하는
실무경력이 인정되어야
취득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 경우 학점은행제를 이용한다면
조금은 수월하게 진행이 가능하다.
비전공자의 경우 큐넷(http://www.q-net.or.kr/)
에서 응시자격 확인후 산업기사
이상 취득한 뒤에 교육을 통해
추가 점수를 획득하면 초급 건설
경력수첩을 수월하게 발급 받을
수 있다.
고졸의 경우 학점은행제 건축학사로
진행하게 되면 중급 건설 경력수첩까지
노려볼 수 있다.
가끔 몇몇 글에서 학점은행제
건축전문학사 진행 후 기능사 취득하면
초급 건설 경력수첩을 취득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반은 맞는 말이다.
이론상
학점은행제 건축전문학사(18점)
+
건설 관련 기능사(15점)
부족한 점수는 교육지수로 채우면
초급 건설 경력수첩을 얻을 수 있다.
난이도도 산업기사나 기사에 비해
기능사가 비교적 쉬운 편이긴 하지만
이렇게 진행할 경우
학점은행제의 장점인 온라인강의를
이용하기 힘들다.

기능사 자격증은 학점은행제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기때문에
전공필수 과목은 물론 전공선택
과목 전부 온라인 강의로
들어야되는데
실습이 있는 과목들은 온라인
진행이 어렵다. 전공필수 과목
외에도 전공선택 과목 역시
실습이 있는 과목들이 대부분이다.
아무 이유없이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 취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다.
산업기사 취득이 기능사에 비해
힘들다고 하지만 경력수첩은 물론
학위 취득에 있어 전필학점으로
인정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학점을 모두 온라인 강의로 듣는
것에 비해 훨씬 낮은 비용으로
진행이 가능하다.
만약 본인이 지금 현재 역량점수가
몇점인지 모르겠다면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인이 고졸이거나 대학
중퇴로 인해 학력 조건,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자격증 취득이 안된다면
아래의 네임카드를 통해
편하게 연락주길 바란다.
'학점은행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운동관리사 취득하고 보건소 취업하자 (0) | 2021.12.09 |
---|---|
비파괴검사기사 종류와 응시자격 확인해서 취업까지 성공하자! (0) | 2021.12.08 |
플로리스트 화훼장식기사가 전문자격증이라고? 응시자격 확인해서 취업하자! (0) | 2021.11.29 |
공조냉동기계기사 응시자격 갖춰서 NCS 블라인드 채용 하자! (0) | 2021.11.26 |
소방공무원이 되겠다고? 학점은행제 소방학으로 가산점 받고 하자!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