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정고시 합격자는 대학을
어떻게 갈까.
고등학교처럼 내신등급이
나오는 것도 아닌데
수시 지원이 가능할까?
막상 검정고시를 준비하면
드는 생각 일것이다.
막연한 불안감.
본인이 선택해서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도 있을테고
개인사정에 의해 검정고시를
선택 할 수 밖에 없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대학 입학은
거의 필수가 되었다.
하지만
고등학교처럼 선생님이
상담해주고 가이드라인을 잡아
주는 사람이 있을리 전무하고
그렇다고 무작정 대입을
준비하기에는 장애요인이 많다.
현재 내 위치는 어디쯤인가.
생각보다 대입에 있어
'주제 파악'이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라고
옛말에 틀린 말 하나 없다.
내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고 세이프라인이 어디인지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검정고시에서 전과목 만점
이라고 가정해보자.
검정고시 전과목 만점.
뭔가 굉장해 엄청나 보이지만
검정고시의 경우 학교 내신이
아니기때문에 비교내신으로
환산하게 되는데

보면 만점을 받는다하더라도
고등학교 내신 2등급내외로
인정되고 있다.
서울권대학에 가려면 1-2등급은
되어야 되는데 이미 내신에서
2등급이 한계면 다른 입시생들에
비해 뒤쳐질테고
비교내신을 인정하지 않는 학교도
있어서 오로지 정시로 진행해야
되서 선택의 폭이 굉장히 좁을 것이다.
수능에 자신이 없다면?
본인이 수능에 자신이 없다면
대학 진학을 포기해야 될까?
다행히 수능없이 대학에 진학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편입을 이용하는 것이다.
편입?
혹시 수시로 낮은 대학에
지원해서 다른 대학으로
편입하실 생각이라면
그만두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하게 되면 너무
시간도 시간이지만
비용도 너무 많이 들게 된다.
한마디로 너무 비효율적.
편입을 조금 알아본 분들이
라면 무슨 말을 할지 예상이
될텐데, 맞다.
학점은행제
에 대해 얘기해볼까한다.
검정고시 합격자는 고등학교
졸업과 동등한 자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학점은행제도 이용
할수 있다는 것이다.
학점은행제의 경우 온라인으로
대학교 학점을 취득하고
나아가 학위까지 취득할 수
있는 평생교육제도인데
학점은행제로 취득한 학점이
대학교에서 취득한 것과
같기에 편입으로 진행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대학교마다
지원하는 학과에 따라
요구하는 학점이 다르니
이부분은 같이 진행하면서
설명해주도록 하겠다.
학점은행제로 진행하면 불이익이
있거나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제도이고
대학 역시 교육부가 관리하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인정해주는
학점을 인정하지 않고 불이익을
준다?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잘 생각해보라.
고등학교 이름이 좋다고
대학교에 잘가는가?
검정고시를 합격하고 대학
입시에 있어 불안하다면
언제든 문의해주길 바란다.
상담에는 비용이 들지 않으니
말이다.
'편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대 편입! 재수를 생각하고 있다면? (0) | 2022.01.26 |
---|---|
경희대 편입 나에게 맞는 편입전형을 찾아 유리하게! (0) | 2022.01.25 |
물리치료학과 진학 지금부터 준비해야 늦지 않아요! (0) | 2022.01.18 |
한양대 편입! 지금부터 준비해야 늦지 않아요 (0) | 2022.01.18 |
2023년도 명지대 편입 지금부터 준비해야 늦지 않아요! (0)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