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은행제

임상심리상담사 응시자격 수련 실무기간 없이 진행하는법!

겨레쌤 2022. 3. 14. 18:47

 

 

안녕하세요! 해밀원격평생교육원

소속 플래너 겨레쌤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거나 혼자

있는 시간이 늘어감에 따라

마음의 병이 생기는 분들이 많아

지는 것 같아요.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고 열심히

또는 다급하게 뛰어왔던 시간을

되돌아보는 시기가 되었다면

정말 좋았겠지만

 

사람 일이 언제나말처럼 쉽게

풀리는 경우는 많지 않으니까요.

 

이런 여러분들의 심리에 대해

상담해주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분이 바로

심리상담사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심리상담사 중

임상심리사에 대해

알아볼까 해요!

 

어디 함께 가볼까요?

 

임상심리사 응시자격

 

임상심리사는 여러 사람들의 심리상담을

도맡아 하게 되는데 아무래도 감정을

다루는 직업이다보니 어줍잖은 지식으로

진행하기에는 위험하기 때문에 응시자격,

그러니까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편인데요.

 

구분
응시자격 내용
비고
임상심리사1급
①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2년이상 실습수련을 받은자.
또는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심리학 분야에서
석사 학위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자 및 취득 예정자.
② 임상심리사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
① 석사 + 2년이상 실습수련
또는 4년 이상의 실무


②2급 + 5년이상 실무
임상심리사2급
①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이상 실습수련을 받은 자로서,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②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① 학사 + 1년이상 실습수련


② 학사 + 2년이상 실무

 

임상심리사 1급의 경우 2급을 취득하고

실무경력을 쌓거나 석사 학위 취득후

2년정도 실습수련을 거치게 되면

임상심리사 1급 자격증이 나오는 게 아니라

 

임상심리사 1급 시험을 볼 수 있는

응시자격이 갖춰진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보통 임상심리사 2급을

준비하게 되는데요.

 

2급의 경우 학사학위 취득 후 1년의

실습수련 또는 2년이상의 실무가

필요할 거에요.

 

이러한 실습이나 실무기간 없이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어떠신가요?

 

 

위의사진을 보게 되면 응시자격 1호는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 이상 실습

수련을 받은 자 또는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대학졸업자 및 그

졸업예정자" 를 뜻하는데요.

 

여기서 실무 경력 2년을 대학원 이수

기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이 나와

있습니다.

 

임삼심리사2급에서 대학졸업자 또는

대학졸업예정자의 경우 전공무관

하다고 알고 계실텐데요.

 

만약 여러분들이 수련 또는 실습

기간을 대학원 이수기간으로 인정

받는다고 한다면 전공은 심리 또는

상담, 치료 관련 전공으로 진행해

주셔야 됩니다.

 

상담심리대학원

 

 

심리관련 대학원에 진학을 하실때

이역시 전공무관하게 지원은 가능하지만

심리학의 경우 동일 학과라면

가산점을 주는 곳도 있어,

심리관련 학위를 취득해주는 것을

추천드려요.

 

만약 여러분들이 비전공자라면

학점은행제 심리학으로 진행을

도와드릴 수 있고,

 

2년제/3년제 전문학사라면

전적대학점을 끌어와서 심리학

학사로 이어서 추가로 학위 취득

까지 가능하죠.

 

이런 것들이 가능케 한것이 바로

학점은행제인데요

 

학점은행제는 고등학교만 졸업했다면

이용이 가능한 평생교육제도이기 때문에

꼭 학위가 없더라도 학점은행제로

심리학 학위를 만들어서 진행할 수도

있답니다.

 

솔직히 심리상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믿음이죠. 처음 보는 사람이 판단하는

부분은 아무래도 졸업한 학과또는 학교

일텐데요.

 

'심리상담을 체계적으로 배웠는가'

보게 되겠죠? 그런데 비전공자가

심리상담을 하고 있다? 여러분들이라면

믿음이 생길 것 같나요?

 

임상심리사에 대해 좀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겨레쌤을 찾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