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학력개선 야간대학교 보다 쉽고 빠른 길이 있다면?
옛말에 이런말이 있습니다.
'공부에는 왕도가 없다.'
취업을 하고 나면 학력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을 줄
알았겠지만
사실 취업을 하고나서 가장
필요한 게 학위일 거에요.
특성화고 졸업생으로,
또는 고졸 채용전형으로
공무원 시험에 합격해서
취업에 성공했지만
승진을 하려면 필요한게
바로 학력이랍니다.
특히 회사내에서 능력있는
사원을 승진시키고 싶은데
학력이 좋지 않다면
학위 취득까지 지원해주는
곳도 종종 있어요.
여러분들은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면 어떤 곳이 먼저 생각
나시나요?
오늘은 직장인 학력개선에
대해 알아볼까해요!

Q1. 회사 내부 규정때문에 승진하고 싶으면
전문학사라도 취득하고 오라고 하는데
야간 전문대학은 도통 안보여서 난감하네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야간대학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고 일반대학에 있던
야간 학과 역시 점차 줄고 있어요.
아무래도 전반적인 학력조건이
높아짐에 따라 야간대학들이
사라지고 대학원이 그 역할을
대신 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최근 전반적인 학력조건이
높아진 것이지 아직 고졸인
직장인 분들이 생각보다 많답니다.
그렇다면 차선책으로 생각할만
한 것이 바로 사이버대학교죠.

야간대학처럼 직접 출석을 하지
않아도 되고 온라인으로 진행
되어서 비교적 야간대학에 비해
접근하기도 쉽고 말이죠.
(야간대학은 일반 대학교와 다를게
없다. 강의 시간만 저녁에 있는 것만
빼면 일반 대학과 진행이 같기에
오히려 직장인이 아니라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많이 지원한다.)
야간대학의 빡빡한 정원에 비하면
사이버대학은 거의 정원이 없다고
느껴질 정도로 널널했으니까요.
Q2. 사이버대에 지원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학비가 비싸더라구요.
야간대에 비하면 선녀같은
사이버대는 단점이 없을까?
사이버대의 단점은 온라인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것에 비해
등록금이 일반대학 못지 않다는
점이 있어요.
명문대학이름의 사이버대학도
결국은 사이버대학이라 알아주는
사람도 없는데 이렇게 비쌀까
싶기도 하구요.

그렇다면 이모든 단점을
극복한 것은 없을까요?
야간대학은 갖지 못한
온라인강의에 사이버대학은
갖지 못한 낮은 등록금까지!
바로 학점은행제라는 제도가
이 모든 단점을 장점으로
승화했답니다!
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는 본디 교육부에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학력을 올리고
평생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만든
제도인데요.
고등학교 졸업학력 이상 학력이면
(의무교육은 중학교까지기 때문에
여기서는 검정고시 합격자까지 말한다)
나이가 많든 적든 학점을 취득하고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죠!
여기서 취득한 학점은 물론
일반 오프라인 대학/대학교에서
취득한 학점과 같고 학위 역시
같은 학위로 인정해주고 있어요.
이미 낮은 학비에 온라인 강의만
해도 충분히 군침이 싹 돌지만
학점은행제에는 한가지 장점이
하나 더 있답니다.
바로 학위취득 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는 점인데요!

학점은행제는 온라인 강의 외에도
자격증 및 독학사 등 다양한
학점 취득방법부터 대학교
제적,중퇴(자퇴)한 학점도
학점은행제 학습구분을 통해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있어요.
이렇게 여러 방법을 함께 병행한다면
4년제 학사 학위는 2년안에
2년제 전문학사 학위는 1년안에
취득할 수 있지요.(고졸기준)
취직하면 더이상 공부를 안할 줄
알았지만 먹고 살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된다는 현실을 깨달았다면!
겨레쌤과 함께 진행한다면
비용은 물론이고 진행하기 쉬운
전공 이수하기 쉬운 과목과
교육원으로 안내 드린답니다!
(물론 교육원은 교육부에 정식
인가 받은 교육원이랍니다)
교육부 정식인가 받은 학점은행제
학습플래너인 겨레쌤과 함께
1:1 상담을 통해 여러분들의 상황에
맞는 플랜을 받아보는 건 어떨까요?

'학점은행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점은행제 체육학 고졸도 온라인으로 가능하다고? (0) | 2022.03.08 |
---|---|
학점은행제 건축공학 누구보다 빠르게 학위를 취득하고 싶다면? (0) | 2022.02.28 |
사회복지공무원 9급 공무원 경쟁률 DOWN 합격률 UP! (0) | 2022.02.21 |
보건직 공무원 기술직 공무원을 꿈꾼다면 다들 한다는 '그것'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2.17 |
식품기사로 식품위생직 공무원 경력경쟁 준비하자! (0) | 2022.02.15 |